목록BF 2024 (107)

** %s : 문자형 ** %d : 정수형 ** %f : 실수형 ** 사용 방법 c+ 처럼 직접 '따옴표 안 %로 문자가 출현할 위치에' 출력 형식을 지정해주면 되는것 같다 print('user_name : %s' % user_name) print('user_age : %d' % user_age) print('user_name : %s, user_age : %d' % (user_name, user_age)) ** 소숫점 표현 역시 %.nf 식으로, 똑같다 ** 실습 예제 반지름을 실수형으로, 원주율을 소수점 아래 2자리 까지 지정하여 출력하고, 이후 원의 넓이를 구해서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출력하세요 ** 복붙용 코드 radius = float(input("반지름을 입력하세요 : ")) pi = floa..

** format 문자열을 이용한 데이터 출력 # 1 print("help : {} ".format(variable)) # 2 print(f"help:{variable}" -> f for format ** "{0} , {1} , ... ".format(first, second, .. , last )) 로 인덱스를 활용하여 {}탭에 들어갈 format(변수) 순서도 지정할 수 있다
# 추가할 예정 ** \ : 이스케이프 코드 ** \t : 탭 t for tab ** \n : 개행 n for enter

** 데이터 입/출력 방식 : input() -> typing -> memory 적재 -> print() -> 출력 ** input() 함수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 input() 함수를 통해서 아무거나 입력하세요 : "input 내용" 을 받아서 print(변수)로 출력하였음 하단 이미지 input("아무거나 입력하세요 :" ) 처럼 ""안에 안내문구 삽입 가능 ** input 함수로 입력한 데이터는 항상 문자(열) 자료형이다 hello, 10, 3.14, True -> input() -> print(type()) 시에 모두 str ** input 함수로 입력한 데이터를 형변환 하면, 정상적으로 출력된다 hello -> str(input()) -> type() -> str 10-> int(input()) ..

** 자료형 변환(type casting)이란 ? 데이터 타입을 변환하는 것으로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함수를 이용한다. ** 문자 자료형 변환 str()함수를 사용하여 원 변수에 변환된 자료형을 저장한 형태 int_num과 f_num의 자료형이 각각 int, float -> str로 변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논리형(bool) 역시 마찬가지로 변환 ** 숫자 자료형 변환 bool형 정수형과 실수형 변환 ** 그 외 데이터의 자료형 변환 빈 문자 vs 공백 문자 빈 문자 '' -> 데이터 없음 -> 논리형 False 공백 문자 ' ' -> 공백 데이터 있음 -> 논리형 True True 와 False string은 변환해도 bool형 T(1),F(0)이 아니다! 문자열을 논리형으로 type casting ..

** 자료형(Data type)이란?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해서 데이터를 정수형, 실수형, 문자(열)형, 논리형으로 구분한 것 데이터 타입에 따른 메모리 크기를 결정해서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가 작은데 메모리가 크게 할당된다 -> 메모리 loss 데이터가 큰데 메모리가 작게 할당된다 -> 데이터 손실 ( overflow ) 정수(int - 4byte ) int for integer score = 100 -> 메모리가 허용되는 한 무한 사용 가능 실수(float - 4byte , double - 8byte , long double - 8byte ) pi = 3.14 -> 소숫점 아래 17~18 자료부터 손실이 발생 -> 컴퓨터가 소숫점 아래 자료들을 표시하는 방법을 생각해보면 1/2 + 1/4 + 1/..

** 한글 보다는 영문을 사용할 것 ( 간단한 프로그램에서 상관은 없지만.. 권장하지는 않음 ) myAddress = "우리 집" print(myAddress) O 내가 사는 곳 = "우리 집" print(나의 주소) X ** 변수명의 첫 번째 글자는 소문자로 작성할 것 ( 클래스명과 변수명의 혼돈을 방지하는 관례 ) myAddress O MyAddress X ** 변수명은 가급적이면 데이터의 의미를 파악하거나 유추할 수 있도록 할 것 myWeight = 200 O

** 데이터의 재사용의 목적 : 일일이 기입하지 않고 변수명만 다시 호출해주면 되니까 빠르게 실행 가능, 작성 오류의 가능성을 최소화 ** 프로그램의 효율적 관리 : 변수 내용만 수정해서 사용 가능 이해는 되지만 직관적으로 떠오르지는 않기 때문에 아래 예제에서 직접 확인. ** 이름만 박바보 -> 박박비로 변경하여 효율적으로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

** 변수 : 데이터가 저장(할당)되어 있는 메모리 공간 print(10) -> 10이라는 숫자는 메모리에 적재된다 -> 메모리의 주소로 접근 하지 않고 -> 변수명으로 접근한다 ** 변수 선언 certain_number = 10 좌항 certain_number

**데이터 숫자 : 10, 20. 문자 : 'A', '가', ~~ 음원, 영상, 이미지 등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-> 수집, 가공 하여 의미있어진 것 -> 정보 지혜 : 근본원리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도출되는 창의적 아이디어 ex) A마트의 다른 상품들도 B마트보다 쌀 것이라고 예측 지식 : 상호 연결된 정보 패턴을 이해하여 이를 토대로 예측한 결과 ex) 연필을 살 때는 A마트로 가는 것이 유리 정보 :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정제 및 가공된 데이터 ex) A마트의 연필가격이 더 저렴함 데이터 : 관찰, 측정을 통해서 수집된 사실이나 값, 수치, 문자 등 가공되지 않은 원본 데이터 ex) A마트 펜 500원, 연필 200원, 라면 3000원.. B마트 연필 300원 ** 컴퓨터는 데..

*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 컴파일러 : 컴퓨터는 우리가 작성한 소스 파일을 바로 읽을 수 없어서, 컴파일러가. 소스 전체를 실행파일로 만든 후 기계에서 실행 -> 컴파일 과정을 거치고 통으로 실행하는 언어 -> 번역과도 같다! c/c++, java 소스 파일 -> 컴파일 -> 기계어 -> 기계(pc)에서. 실행 print('Hello') 1101 0011 Hello. 인터프리터 : 컴파일러와 달리 실행 파일을 만들지 않고, 실행이 필요할 때 기계어로 변환을 함 ( 실시간으로 해석하여 번역 ) -> 한 줄 한 줄 쳐서 실행할 수 있는 언어 -> 동시 통역과도 같다! r, python 소스 파일 -> 기계에서 실행 print('Hello') 1101 0011 * xcode에서 c++ 파일을 생성해본다 전체 코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