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olium 실습 , 자료 읽어서 찾기 본문
1. 위치정보가 json 파일로 있을 경우
2.위치정보가 없는 경우
1. 위치정보가 json 파일로 있을 경우
> 지도에 표시할 데이터를 읽어온다

> geodata = "/~.json" json 파일의 경로를 읽어준다
> 중첩할 데이터를 설정한다
> 중첩할 데이터에서 필요한 컬럼들 (범주, 수치)를 가져온다

> 끝.
2.위치정보가 없는 경우, 일일이 마커 찍기 등
재밌어 보이는 데이터 셋을 가져왔습니다. 흡연부스하려다가 한국전력공사의 낙뢰관측 정보로 선회
https://www.data.go.kr/data/15083360/fileData.do
한국전력공사_낙뢰관측 정보_20181031
한국전력공사가 보유한 낙뢰감시기를 통해 관측된 낙뢰 발생 지점의 경도, 위도별 정보(시간 위도 경도 크기 컬럼 보유)<br/>
www.data.go.kr
> 필요한 모듈들을 적재한다

> csv 파일을 data.frame으로 만들어 준 후, 기본적으로 파일의 아웃라인을 본다


> 특별히 문제는 없어보이니 , for 문과 data.iterrows(): 로 각각의 자료들을 읽어주자
> 19000건은 너무 많아서 오류가 난다, 데이터 셋을 축소해서 그린다

> 정상적으로 마커가 표시된다. 한전 관측자료인데 중국부터 일본까지 많은 곳에서 관측이 되었다.
> popup을 클릭하니 낙뢰관측시간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며, tooltip에서는 관측한 낙뢰의 크기가 표시된다.


'시각화 및 BI > Foliu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olium 지도 시각화 (0) | 2022.02.23 |
---|